EC21 Logo
메세지 바구니 ( ) 로그인  회원가입  안내  
left_top16.gif



Home Page
 
icon Multi Layer Ceramic Chip Capacitors - EDEN
icon Chip Resistors - Everohms
icon Crystal & Oscillator - SIWARD
icon DIODE & RECTIFIER - WONTOP
icon CHIP BEAD & INDUCTOR - EROC
icon 중소기업 무역업무 대행서비스

line

icon 회사 정보
icon 회사연혁
icon 게시판
icon 방명록
icon 인덱스

line


icon To English Page



http://www.ec21.com/
visitors: 209874










(주)알앤케이
 


중소기업 무역업무 대행서비스
요르단(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
Add to Basket Inquire now
요르단(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





◈ 요약

위치 : 아라비아반도 북부 면적 : 8만 8946㎢
인구 : 483만 9000명(1999)
인구밀 도 : 54.2명/㎢(1999)
수도 : 암만(Amman)
정체 : 입헌군 주제
공용어 : 아랍어
통화 : 요르단 디나르(JD)
환 율 : 0.7090 JD = 1 달러(1999.10)
1인당 국민총생산 : 1,520 달러(1997)

면적 8만 8946㎢. 인구 483만 9000명 (1999). 인구밀도 54.2명/㎢(1999). 정식명칭은 요르단 하심 왕 국(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이다. 수도는 암만이고 아 랍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북쪽은 시리아, 동쪽은 이라 크, 남쪽은 사우디아라비아, 서쪽은 이스라엘과 접하며 홍해(紅 海) 북단의 아카바만(灣) 연안에 유일한 항구인 아카바항(港)이 있다. 요르단 강 및 사해(死海)의 동안(東岸)에 해당하는 구(舊) 트란스요르단 지역과, 요르단강 서쪽 기슭에 있는 구 팔레스타인 의 일부로 구성된다. 요르단강 서안 지역은 유대 ·그리스도 · 이슬람 세 종교의 성지(聖地)인 예루살렘이 있으며, 1967년의 제 3차 중동전쟁(中東戰爭) 이후 이스라엘에게 점령당하여 현재 팔 레스타인 문제의 초점이 되어 있다.

1. 자연

요 르단은 요르단강 동안의 대부분이 아라비아 고원의 북서단에 해 당하며, 해발고도 1,000m 내외의 고원이다. 고원은 서쪽 기슭으 로 갈수록 높아지며, 최고봉은 무브라크산(1,727m)이다. 고원 서 쪽에는 너비 20km 내외의 요르단 지구대(地溝帶)가 남북으로 뻗 어 있고, 그 밑을 남하하는 요르단강은 사해로 흘러들어가 사해 에서는 해면하(海面下) 394m의 저지를 이룬다.
요르단강 서 안은 해발고도 1,000m가 못 되는 팔레스타인의 산지가 남북으로 관통한다. 서안에서는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에 비가 많 이 내리며, 비교적 따뜻하다. 요르단 지구대와 동안(東岸)의 고 원은 매우 건조하여 겨울에 비가 다소 내리긴 하나 수도 암만의 연강수량은 300mm 이하이다. 여름의 더위는 대단하여 40℃를 넘 는 때도 많으며 겨울은 사뭇 추워 산지에서는 눈도 내린다. 동안 의 대부분은 무인 사막으로, 시리아·아라비아 사막으로 이어진 다.

2. 주민

요르단 주민의 대부분은 아랍인으 로, 약간의 아르메니아인 등 소수민족이 섞여 있다. 또한 대다수 가 수니파(派) 이슬람교도지만, 소수의 그리스도교도도 있다. 1967년의 제3차 중동전쟁 때 대량의 팔레스타인인(人) 난민이 요 르단강 서안에서 동안으로 이동하였으므로 정확한 인구와 분포 는 알 수 없으나 60만 명 이상이 이스라엘 점령의 서안 지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동안에 있는 주민도 대부분 은 1948년의 팔레스타인 전쟁으로 서안에서 이동한 팔레스타인이 고 동안에는 유목민도 많다. 언어는 아랍어이다.

3. 역 사

요르단 땅은 요르단강(요단강) ·암몬 ·모압 등 성 서와 인연이 깊은 장소를 포함하여 고대부터 역사에 등장하지 만, 항상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의 일부로서 그 변경의 유목지대였 으며, 하나의 국가를 이룬 적은 없었다. BC 600~BC 100년에 걸 쳐 셈계(系)의 나바테아인(人)이 왕국을 세우고 페트라를 수도 로 정하여 번영하였으나, 그 뒤에는 로마제국(帝國)과 비잔틴 제 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6세기 이후 아랍인에게 정복되어 이슬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6세기 이후에는 오스만투르크 제국 의 속령(屬領) 시리아의 일부가 되었고 1914년의 제1차 세계대 전 때 처음으로 세계사에 크게 등장하였다. 이때 영국은 오스만 제국의 붕괴를 노려서 ‘아라비아의 로렌스(T.E.로렌스)’ 등을 이용하여 아랍인의 반란을 지원, 메카의 셰리프, 후세인에게 아 랍의 독립을 보증(1915:맥마흔 선언)하고, 한편으로는 유대인의 시오니즘 운동에 대해서도 팔레스타인에서의 건국을 약속(1917: 벨푸어 선언)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후 영국은 프랑스와 서 아시아 지배권의 분할(分割)을 정한 사이크스피코 협정(1916)에 따라 트란스요르단과 팔레스타인의 위임통치권을 획득하였다. 아 랍인의 독립선언은 무시되었고, 1923년 영국은 요르단강 동안 지 역을 서안의 팔레스타인과 분리, 위임통치국 트란스요르단으로 정하고 후세인의 둘째 아들 압둘라를 왕으로 세웠다.
압둘라 는 영국의 보호를 받으면서 유명한 아랍 군단(軍團)을 설립하여 왕권을 확립하였으며, 영국과 협정을 거듭하여 단계적으로 자치 권을 확대, 1945년 아랍 연맹에 가맹하고, 1946년 5월 트란스요 르단 하심왕국으로서 완전 독립을 달성하였다. 1948년의 팔레스 타인 전쟁에서는 이스라엘과 싸워, 다른 아랍 국가의 반대를 물 리치고 요르단강 서안의 팔레스타인의 일부를 병합, 1949년에 국 명을 요르단 하심 왕국으로 고쳤다.
1951년 압둘라가 하심 왕가의 지배에 반대하는 팔레스타인인에게 암살당하자 아들 탈랄 이 왕위를 계승하였으나 병약하여 1년 만에 퇴위, 1952년에 손 자 후세인이 왕위를 이어 오늘에 이른다. 요르단은 성립 유래부 터 대체로 친유럽적·보수적인 입장을 취해 왔다. 그러나 1948년 의 팔레스타인 전쟁에서 요르단강 서안을 병합하였기 때문에 동 안의 요르단인에 비하여 교육·경제 수준이 높은 팔레스타인인 과 그 난민을 대량 자국으로 끌어들인 결과가 되었다. 그들은 반 서구(反西歐)·친아랍 민족주의 경향이 강하여 후세인 왕제(王 制)에 날카롭게 대립하여 정정(政情)을 불안정하게 만들었 다.
국왕은 유목민의 전통이 강한 동안(東岸)의 부족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그 수장(首長)들의 충성에 힘입어 반왕제파(反王 制派)를 억압해 왔다. 55년에 바그다드 조약에 가입한 서구 측 전략의 일익(一翼)을 맡았으나 1956년의 총선거에서 반영(反英) 세력이 대두하여 국왕은 아랍 군단의 영국인 총사령관을 해임시 켰다. 그러나 1957년 국왕은 재차 지배권을 탈환하고 이후 미국 의 정치적 지원에 의거하여 아랍 여러 나라의 보수파와의 유대 를 강화하여 정권유지에 힘썼다. 그 결과 시리아·이집트(당시 아랍연합) 등 급진파와의 관계는 오히려 악화하고 국내 반왕제파 의 세력은 오히려 강화되었다. 1967년의 제3차 중동전에서는 요 르단강 서안을 이스라엘에게 점령당하고 국가는 최대의 위기를 맞았다. 급속히 대두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등의 게릴라 세력이 동안에 강대한 힘을 구축하고 ‘국가 안의 국가’로서 후 세인 왕제와 정면으로 대립하였다.
1970년에 들어와서는 정부 군과 게릴라 세력 사이에 내전이 일어나 이집트의 조정으로 타협 이 성립되긴 하였으나, 1971년에는 후세인이 국내 게릴라 세력 을 철저하게 탄압하여 괴멸시켰다. 이어서 1971년, 요르단강 서 안 지역에 팔레스타인인 자치구(自治區)를 만들고 이것과 동안지 역을 합친 단일 ‘아랍 연합왕국’을 세우고자 하는 구상을 제창 하였다. 다른 아랍 국가는 이것을 팔레스타인의 완전 해방을 목 표로 하는 아랍의 대의(大義)에 배반되는 것으로 보고 일제히 반 발, 차례로 요르단과 단교하여, 요르단은 아랍의 고아가 되었 다.
1973년 이후에는 후세인도 외교노선을 수정하고 아랍 국 가와의 관계개선에 손대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1973년의 제4 차 중동전쟁에서는 시리아와 공동으로 아랍 측 전열(戰列)에 가 담하였으며, 이때 골란고원 일부를 이스라엘에 점령당하였다. 1974년 모로코의 수도 라바트에서 열린 아랍 정상회담에서 PLO 가 팔레스타인인의 정당하고 유일한 대표임을 결의하였을 때 이 것을 받아들여 서안 지역의 지배를 포기하였다. 그 해 11월 헌법 을 개정하고 서안 지역을 통치 범위에서 떼어내고 동안 지역을 영토로 하는 요르단의 재편(再編)에 나섰다.

4. 정치

요르단은 입헌군주제로서 왕위는 하심가(家)의 남자가 세습한다. 국회는 2원제로서 임기 4년, 국왕이 임명하는 40명의 의원이 상원을 구성하며, 하원의원(정원수 80)은 직접선거로 뽑 는다. 국왕은 총리임명권과 의회해산권, 국군통수권을 장악하 고, 실질적으로 강제체제를 시행하고 있다. 1991년 6월 34년간 에 걸친 정당활동 금지를 해제하고 20년 이상의 계엄기간에 통과 된 법을 수정하는 국민헌장을 채택하여 다당제에 기초한 총선거 실시를 약속하고 7월 계엄령 해제를 선언했다.
의회는 하원 해산시 상원도 자동으로 해산되는데 이슬람브라더스당 등 일부 야당의 13대 총선 보이콧으로 후세인 국왕이 1997년 7월 1일 로 국회를 해산 시켰다. 외교면에서는 친서구적(親西歐的)이며, 미 국과의 관계를 중시함과 더불어 아랍 국가와의 우호관계 촉진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중동문제에 관해서는 미국을 중개로 하는 화평노선에 반발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1974년경부터 미국과 의 관계를 깊게 한 이집트는 이스라엘과의 단독화평으로 기울어 지기 시작하였으나, 이에 맞서 후세인은 시리아의 아사드 대통령 과의 회담(1975)을 실마리로 급속하게 시리아와 관계를 긴밀화하 여 정치 ·군사 ·경제의 각 분야에서 최고합동위원회를 설치하 였다.
1977년에는 이집트의 사다트 대통령과도 회담하고 PLO 와도 관계를 개선할 적극적인 의사를 표시하였다. 1978년 9월 미 국의 캠프데이비드에서 가진 미국 ·이집트 ·이스라엘 3국에 의 한 중동평화에 관한 합의(合意), 그에 이은 1979년 3월의 이집 트 ·이스라엘 간의 평화조약 체결은, 경제원조를 내세워 지지 (支持)를 얻고자 하는 미국과, 이것을 아랍의 대의(大義)에 대 한 배반으로 보는 다른 아랍 국가와의 사이에서 요르단을 진퇴양 난의 처지에 빠뜨렸으나 아랍에서의 이집트의 고립과 이란의 정 변(政變)을 눈앞에 보면서 후세인은 이 화평문제를 거부하는 자 세를 굳히고 있는 듯하다.
걸프사태 이후 이라크 지지를 표명 하자 미국 등 서방 측과의 관계가 소원해졌으며, 사우디아라비 아 ·쿠웨이트 등도 암만에서 외교관을 철수하는 한편 원유공급 을 중단했다. 유일한 항구인 아카바항도 유엔의 대(對)이라크 봉 쇄조치로 기능이 정지되어 경제적 손실도 막대하고 아랍권에서 의 고립도 심화된 상태에 있다. 1994년 이슬라엘과 평화조약을 체결 하였고, 이집트와는 수 차례 정상회담을 갖으며 실질적인 관계 증진에 노력하고 있다.

5. 경제

요르단은 국토의 대부분이 불모지인 사막이거나 스텝이어서 산업은 뒤떨어 져 있다. 주요 산업은 농목업(農牧業)으로서 요르단강 서안과 동 안의 고원 서쪽 기슭에서 밀 ·야채 ·과수 등이 재배되며, 수출 의 반 이상은 농산물이다. 공업은 시멘트 ·피혁 ·식품가공 등 영세한 규모의 것이 많으나, 최근 인광석(燐鑛石) 산출이 급속하 게 늘어나고 있고 이것이 수출액의 반을 차지한다. 공업제품과 연료를 전면 수입에 의존하며, 식품 수입량도 급증하고 있다.
요르단 경제는 미국과 아랍 산유국들로부터의 원조 ·차관 (借款)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다. 또한 페트라 등의 사적(史蹟) 에 의한 관광 수입과 해외로 나간 이민의 송금도 큰 재원이다. 요르단 최대의 무역 상대국은 이라크인데, 서로 관세혜택과 저렴 한 가격으로 석유를 공급하는 등 경제협력이 밀접하였다. 1980년 대 후반 외채의 급증과 심각한 물가상승으로 1989년 4월 폭동이 발생하는 경제난을 겪었으며, 걸프전 이후 대(對)이라크 경제봉 쇄의 여파와 산유국들의 경제지원 중단, 걸프전쟁을 피해 들어 온 난민들로 심각한 경제위기에 봉착해 있다.

6. 사회

요르단의 요르단강 동안지역에는 유목민이 많으며 요즈 음에는 그 정착화(定着化)가 진행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이슬 람교도의 전통적인 부족사회의 색채가 강하다. 서안지역에서는 상업이 발달하고 유럽문화의 영향을 보다 강하게 받고 있다. 때 문에 동안에서도 상업과 지적(知的) 직업 분야에서 서안 출신의 팔레스타인인을 크게 받아들이고 있다. 의무교육은 7년간이지 만, 아직 취학률이 낮고 문맹률도 높다. 고등교육기관으로는 1962년에 창설된 요르단대학 외에 2개의 대학이 있다. 그러나 국 내 산업이 대단치 않기 때문에 고학력자의 실업(失業)이 많아 심 각한 사회문제로 되어 있다.

7. 문화

대부분 배 두인 유목민인 요르단인은 타인에게 지극한 환대와 혈족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등의 고대 배두인 삶의 방식을 고수한다. 비록 근대의 마을 생활은 유목민의 생활보다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지 만 그 바탕이 되는 요소는 변하지 않고 남아 있다. 마을의 나이 든 여성이나 가끔은 젊은 여성들도 그들의 전통 의상인 길고 검 은 토부 (Thobe)의 어깨와 소매 등에 복잡하고 색이 화려한 작 은 수를 놓아 입기도 한다. 도시에서까지도 전통적인 가치는 사 라지지 않고 있다.
초기부터 요르단인은 관대함, 따뜻함, 친 절함을 배워왔으며 요르단 사회 핵심에는 부족간의 조화와 가족 을 존중하는 사상이 아직도 남아있다. 요르단은 높은 수준의 공 예로 유명하다. 다양한 종류의 공예품들이 암만 (Amman)의 상점 과 수도에서 떨어진 작은 마을의 시장을 채우고 있다. 이러한 공 예품으로는 그릇, 장신구, 수예품, 카페트와 전통 의상 등이 있 다. 암만에서는 지역적 특성의 스타일을 지닌 유리제품을 만드 는 유리 부는 장인을 만날 수 있다. 베두인이 기르는 양은 모직 의 중요한 공급원이다. 이러한 양털로 작은 베틀에서 여러종류 의 모직제품을 만드는데 외국인들에게 가장 널리 판매되는 것은 아랍융단이나 카페트이다. 각각의 카페트에는 독창적인 특징과 독특한 디자인이 나타난다.

9. 대한관계

전통적 으로 친서방(親西方) 국가인 요르단은 1962년에 한국과의 외교관 계 수립에 합의하였고 UN에서도 한국에 대한 서방측의 입장을 지 지하였다. 그러나 1973년의 중동전쟁 이후 천서방노선에서 중립 주의적 외교노선으로 전환, 북한과도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 였다. 한국은 1975년 3월 요르단에 상주대사관을 설치하였으며, 무역협정(1972), 경제기술협정(1977), 항공협정(1978)을 체결하 였고, 1983년에는 후세인 국왕이 내한하였다. 1998년 현재 대 (對)한국 수입 1억 4,300만 달러, 수출 1,900만 달러이다. 주요 수입품은 자동차, 가전제품, 직물 등이며, 수출품은 인산칼슘, 칼륨 비료 등이다.


button button button button       


[ 연락처 정보 ]
icon Company (주)알앤케이
icon Address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120 캐슬타워 101-405
(우:463-480) 한국
icon Phone 82 - 31 - 8986507~8
icon Fax 82 - 31 - 8986510
icon Homepage http://www.innonics.kr
icon Contact 김충회 / 이사

 
line